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22

강경불고기 초월점 방문 강경불고기 초월점 방문2024년 9월 14일(토요일) 경기도 광주에 계시는 어머니를 방문하여, 강경불고기 초월점을 방문하였다. 오늘은 점심으로 무엇을 먹을까 생각하면서 운전하는 중에 강경불고기 간판이 눈에 들어와서, 어머니께 말씀드리고, 불고기를 먹으러 간다. 개업한 지 얼마 안 됐는지 입구에 화환이 많이 있다. 입구에 들어서니 종업원들이 환하게 웃으면서 큰소리로 인사를 한다. 종업원이 안내하는 테이블에 앉아서 키오스크로 주문을 한다. 옛날 소불고기 2인분, 숯불 돼지불고기 1인분, 제육 돼지불고기 1인분을 주문했다. 나는 키오스크로 주문하는 것을 많이 해서 이제는 능숙하게 잘한다. 가게는 넓고, 손님들도 많이 있고, 셀프코너에 야채와 반찬들이 있다. 야채를 좋아하는 나는 깻잎, 상추, 마늘을 많이 가져.. 2024. 9. 14.
중식당 천미미에서 해물누룽지탕을 먹었다. 중식당 천미미에서 해물누룽지탕을 먹었다.2024년 9월 9일(월요일) 저녁에 부평에서 온 아들과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 맛집 중식당 천미미에 갔다. 중식당 천미미 삼성점은 서울종합예술실용학교 아트센터 건물 1층에 있다. 테이블에 설치된 키오스크로 아들이 해물누룽지탕을 주문한다. 약 2주 전에 코엑스 중식당 무탄에서 고흥매생이해물누룽지탕을 맛나게 먹은 기억이 난다. 아주 고소한 매생이의 향이 지금도 생각이 난다. 약 10여 년 전에 아들이 학사장교로 육군 소위 임관을 하고, 다음 해에 중위로 진급을 하고, 집에 왔을 때, 강남구 신사동에 화교가 운영하는 유명한 중식당에 가서 그 식당의 시그니처 메뉴인 맛난 해물누룽지탕을 먹은 기억이 난다. 아들도 그때 생각이 나서 해물누룽지탕을 주문했다고 한다. 6시 조금 .. 2024. 9. 10.
조선 왕릉 기행 : 동구릉 조선 왕릉 기행 : 동구릉2024년 9월 7일(토요일) 동구릉을 가려고, 오전 11시 50분에 집을 나선다. 지하철 8호선이 2024년 8월 10일 별내역까지 연장되고, 동구릉역이 생겨서 동구릉에 가기가 아주 편해졌다. 1시쯤 동구릉에 도착하여 입장한다.  지하철 8호선 동구릉역 3번 출구로 나와서 계속 직진하면 왼쪽으로 동구릉 입구가 나온다. 강변역 4번 출구에서 구리 방향 1, 1-1, 92번 버스를 타면 동구릉에 갈 수 있다. 동구릉은 약 450여 년에 걸쳐 조성된 9기의 능이 모여있는 조선 최대의 왕릉군으로, 7명의 왕과 10명의 왕비가 동구릉에 잠들어 있다. 1408년(태종 8년)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을 시작으로, 문종의 헌릉, 선조의 목릉, 현종의 숭릉, 장렬왕후의 휘릉, 단의 .. 2024. 9. 9.
PJ호텔 점심 뷔페 방문 PJ호텔 점심 뷔페 방문2024년 9월 5일(목요일)에 PJ호텔 점심뷔페를 가려고, 9월 4일 저녁에 PJ호텔 점심뷔페를 네이버에서 예약했다. 정상 가격은 성인 1인당 17,000원인데, 네이버에서 예약하면 10% 할인을 받아서 15,300원에 점심뷔페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예약을 하면 입구에서 예약을 확인하고, 자리를 안내해 준다. 집에서 10시 30분에 나와서 2호선 전철을 타고 을지로 4가 역에서 내려서 조금 걸어가니 대림상가가 나온다. 대림상가에서 길을 건너면 바로 PJ호텔이 있다. 내가 중학교에 다니던 시절, 종로에 세운상가, 청계천에 청계상가, 을지로에 대림상가, 중구 인현동에 삼풍상가, 충무로에 풍전상가가 있었다. PJ호텔은 풍전상가를 리모델링하여 만든 것으로 생각이 된다. 세운상가 일대를.. 2024. 9. 5.
2024년 9월 22일은 24절기 중 16번째 절기인 추분이다. 2024년 9월 22일은 24 절기 중 16번째 절기인 추분이다.추분은 백로와 한로 사이에 있는 24 절기 중 16번째 절기이고, 음력 8월에 들며, 추분점에 이르러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고, 태양이 황경 180도를 통과하는 시기이다. 추분에는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므로, 이날을 계절의 분기점으로 여긴다. 추분이 지나면 밤의 길이가 점점 길어지므로, 여름이 지나가고 가을이 왔음을 느낀다. 추분과 춘분은 모두 밤과 낮의 길이가 같지만, 기온은 추분이 약 10도 정도 높다. 여름의 기운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추분에는 벼락이 사라지고, 벌레는 땅 속으로 들어가고, 물이 마르기 시작한다. 추분을 즈음하여 논밭의 곡식을 거두어들이고, 고추도 말리고, 그 밖의 다양한 가을걷이들이 있다. 추분에는 국가에서 수명장.. 2024. 9. 4.
2024년 9월 17일은 민속 대명절인 추석이다. 2024년 9월 17일은 민속 대명절인 추석이다.추석은 음력으로 매년 8월 15일이다. 음력 8월 15일은 항상 보름달이 훤하게 뜨는 날이다. 추석은 전통적으로 한민족에게 가장 큰 명절이었으며, 대한민국에서도 가장 큰 명절로 지낸다. 추석 즈음하여 여러 가지 과일과 곡식이 익지는 않았지만, 정성을 다하여 준비하고, 조상들에게 차례를 지내고, 풍년을 기원하는 명절이다. 추석에는 씨름, 널뛰기, 제기차기, 윷놀이, 강강술래 등의 놀이를 하는 풍습이 있다. 내가 어린 시절에 동네 형, 동생들과 제기차기를 많이 했고, 어른들은 윷놀이를 주로 했다. 추석에는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윗날만 같아라." 하는 속담이 있다. 추석에는 타지에 있던 가족들이 모두 부모님이 계시는 고향으로 귀성을 하여 전국의 도로.. 2024. 9. 3.
반응형